제주도가 소나무재선충병 50% 이상 피해지에 대해 모든 소나무를 제거해 다른 나무로 대체하는 작업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정상적인 소나무까지 제거하는 문제와 활용방안, 토지주와의 분쟁 등에 대해 뚜렷한 해법을 내놓지 못하면서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KCTV제주방송 최형석 기자의 보도입니다.
【 기자 】
제주도가 소나무재선충병 방제계획의 일환으로 모두베기라는 카드를 꺼냈습니다.
감염 여부에 관계없이 주변 모든 소나무를 제거해 확산을 막겠다는 겁니다.
대상은 50% 이상 재선충병 피해지로 면적으로는 808ha, 1천250여 필지에 이릅니다.
제주도는 여기에 향토수를 식재하는 수종갱신 사업을 추진할 방침입니다.
하지만, 제주도가 뚜렷한 해법을 내놓지 못하면서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소나무재선충병 3차 방제 전략토론회에서는
모두베기의 실현 가능성에 대한 의구심마저 제기됐습니다.
대체조림을 하기 위한 모두베기는 현실적으로 동떨어지고 제주도가 파악한 50% 이상 피해지에 대해서도 의문이 든다는 겁니다.
▶ 인터뷰 : 이상길 / 남부산림자원연구소 연구관
- "제주도에 모두베기를 적용 꼭 해야 되는 건지…. 지금 단목처리도 못해 매년 피해목이 몇만 본이 남고 계속 이월되는 마당에…."
제주도는 내년부터 2018년까지 소나무를 베어낸 자리에 121만 2천 그루의 나무를 심기로 했습니다.
편백이나 황칠나무 등 소득적 가치가 높은 수종으로 대체한다는 계산이지만, 환경파괴와 경관훼손 등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높습니다.
더욱이 여기에 투입되는 예산만도 72억 원.
▶ 인터뷰 : 홍영철 / 제주참여연대 대표
- "시범 성격으로 심어본다거나 하기에는 지금 너무 많은 예산이 들어가는 부분도 있고…."
또 사업대상 면적의 85%는 사유지여서 토지주와의 분쟁마저 우려됩니다.
한편, 제주도는 우선 국공유지에 대해 시범사업으로 우선 추진하고 성과를 분석한 후 사업 대상을 확대한다는 방침입니다.
KCTV뉴스 최형석입니다.
영상취재 : 문호성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