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년간 가파르게 증가하던 해외 직구(직접구매) 규모가 작년에 처음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지난해 원/달러 환율이 수년 새 최고 수준으로 상승한 데다가 국내 소비 진작책이 활발하게 집행된 영향이 컸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13일 관세청의 '전자상거래물품 통관현황' 자료를 보면 작년 해외직구물품 수입액은 총 15억2천342만8천달러로 1년 전보다 약 1.4%(2천148만7천달러) 줄었습니다.
해외직구 금액이 감소한 것은 2006년 관련 통계가 작성되기 시작한 이래 처음입니다.
2011년 72%를 늘어난 해외직구액은 이후에도 매년 47∼50%씩 증가했지만 작년에 추세가 반전됐습니다.
건수 기준으로도 비슷한 양상이 나타났습니다.
작년에는 총 1천586만3천건이 직구로 수입돼 전년보다 2.1% 증가하는 데 그쳤습니다.
2011년 이후 연간 39∼57%씩 급증하던 것과 비교하면 증가폭이 크게 둔화한 것입니다.
관세청은 해외직구 상승세가 꺾인 첫 번째 이유로 환율 상승을 꼽았습니다.
해외직구는 미국에서 들여오는 수입품 비중이 전체 수입국 가운데 70% 이상으로 매우 높습니다.
달러 대비 원화 환율이 상승하면 상대적으로 한국 소비자들의 구매력이 떨어지게 됩니다.
작년 평균 원/달러 환율은 1,131.49원으로 2010년(1,156.26원) 이후 5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2014년(1,053.22원)보다 7.4%(78.27원)나 뛴 수치입니다.
또 작년에 코리아 블랙프라이데이, K-세일데이 행사, 병행수입 활성화 등 내수 진작책이 효과를 거둔 영향도 있다는 것이 관세청의 분석입니다.
해외직구를 통해 구입한 의류 등 물건의 사이즈가 맞지 않을 경우 반품이 어려워 소비자 물만이 큰 점도 원인으로 지목됐습니다.
국가별 수입 건수는 미국이 차지하는 비중이 73%로 부동의 1위였습니다.
다만 최근 수년간 연평균 38%씩 늘어난 반입량은 지난해 1천164만건으로 전년 대비 2% 증가에 그쳤습니다.
유럽이 2위로 전체 수입 건수의 11%를 차지했습니다. 작년 수입량은 181만7천건으로 54% 늘었습니다.
일본(5%)에서 수입한 건수는 전년 대비 115% 뛴 78만4천건으로 집계됐습니다.
지난해 유로(-10.3%)와 엔(-6.2%) 대비 원화 환율이 전년보다 내렸기 때문으로 분석됐습니다.
반면에 환율이 뛴 중국은 수입량이 53% 줄어든 80만4천건에 그쳤습니다.
홍콩에서의 반입량도 21% 줄었습니다.
직구 품목별로 살펴보면 비타민·항산화제 등 건강식품과 의류 비중이 각각 16%로 가장 높았습니다.
분유·커피·캔디 등 기타식품은 14%에 달했습니다.
이밖에 화장품(11%), 신발(10%), 핸드백·가방(4%), 완구인형(4%), 전자제품(3%), 시계(2%), 서적류(0.4%) 순이었습니다.
2014년 62
식품·전자제품은 415만7천건에서 518만5천건으로 24.7% 증가했습니다.
관세청은 "사이즈 편차가 있거나 환불과 반품이 어려워 온라인 구매에 한계가 있는 품목 수입은 감소하고 있다"며 "규격에 따라 품질이 정형화된 상품군으로 구매패턴이 이동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