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 연합뉴스 |
북한은 지난 25년 넘게 무인기(드론) 개발과 성능 개량에 주력해왔으며, 공습과 원거리 침투 등 다양한 임무를 수행할 수 있는 300대 가량의 드론을 운용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미국의 북한 전문가가 19일(현지시간) 밝혔습니다.
북한 전문 웹사이트 '38 노스' 연구원 겸 북한군사. 정보 전문 소식지 'KPA 저널' 편집인인 조지프 버뮤데스는 북한이 지난 1988∼1990년 사이 중국으로부터 드론을 확보한 이래 개발과 성능 개발에 주력해왔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또 한국 군사 통계를 인용해 북한이 현재 300대가량의 드론을 운용 중인 것으로 보인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는 러시아 국영 스푸트니크 기고문에서 북한이 지난 1993년 말 중국의 시안(西安) ASN-104와 유사한 드론을 자체적으로 생산하기 시작했으며, 이후에는 성능이 개량된 시안 ASN-105 모델을 토대로 '방현 2'(Panghyon-2)라는 자체 드론을 생산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주장했습니다.
또 이듬해(1994년)까지 북한은 시리아군으로부터 소련제 무인정찰기 Tu-143 레이스(Reys)를 확보해 이를 핵탄두나 생물무기를 탑재할 수 있는 무장 드론으로 고쳤다고 추정했습니다.
북한은 또 같은 해(1994년) 러시아의 쿨론과학연구소(KRI)로부터 수출용 프첼라-1T(Pchela-1T) 드론 10대를 도입했습니다. 야코레프 설계사무국이 개발한 프렐차-1T 기종은 모니터를 통해 통제할 수 있지만, 야간 비행 능력은 없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북한은 특히 지난 2001년 당시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러시아 방문에서 프첼라-1T 기종 추가 구매 의사를 강력하게 밝혔으며, 같은 시기 쿨론과학연구소는 적외선 통제 장치를 갖춰 야간 비행이 가능한 프첼라-1IK 기종을 개발했습니다.
버뮤데스 연구원은 또 지난 2005년 한국 정보 당국이 입수한 전시 북한 작전 계획에는 북한이 첩보위성과 드론을 통해 입수한 정보를 토대로 지하 깊숙한 지휘소에서 군을 지휘할 수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고 밝혔습니다.
그는 당시 한국은 처음에는 북한이 다량의 무인기를 보유했다는 정보에 의구심을 표시했지만, 그 같은 방향으로 진행될 수 있다는 사실을 시인했다고 주장했습니다.
버뮤데스는 한국이 북한의 드론 운용 사실을 처음 안 것은 지난 2010년 서부전선에 미확인 드론이 발견되면서부터라고 밝혔습니다. 그는 북한은 당시 이 드론을 통해 북한군 포병의 사격훈련을 평가하고 이에 대한 인근 한국군 부대의 반응을 관찰하려는 목적이 분명하다고 전했습니다.
당시 한국은 이 드론이 Tu-143이나 변형 모델일 가능성이 크다고 판단했습니다. 또 지난 2012년 2월 연합뉴스는 익명을 요구한 군사 소식통을 인용, 북한이 중동국가(시리아나 이집트)로부터 구입한 미국제 MQM-107 무인표적기를 모델로 하는 공격용 드론을 개발하고 있다고 보도했습니다. 이 공격용 드론은 한 달 뒤(2012년 3월) 북한군 군사 퍼레이드에서 선보였습니다.
지난 2013년에도 북한은 TV 방송을 통해 드론이 군사훈련에 사용되고 있음을 보여줬습니다. 방송에서는 세 대의 드론이 이륙해 한 대가 공중에서 표적과 충돌해 파괴하고, 나머지 두 대는 산간 표적을 공격하는 장면이 소개됐습니다.
버뮤데스에 따르면 한국이 북한의 드론에 대해 경계심을 높인 것은 지난 2014년 4월 북한제로 추정되는 세 대의 소형 드론이 발견되면서부터입니다. 연료 부족으로 추락한 이들 드론은 청와대를 포함한 중요한 전략 목표를 촬영할 수 있도록 GPS 좌표를 입력한 상태였습니다.
조사 결과 추락한 드론은 한국 정보 당국에게도 운용 사실이 알려지지 않은 중국제 스카이-09와 UV10 드론 변형 모델로 밝혀졌습니다
이에 자극받은 한국은 지난해 말부터 저공으로 비행하는 드론을 탐지할 수 있는 레이더망을 설치했으며, 이 덕택에 지난 13일에는 이를 탐지했다고 버뮤데스는 덧붙였습니다.